레옹 부르주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옹 부르주아는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1851년 파리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했다. 그는 여러 차례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1895년에는 총리를 지냈다. 외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알헤시라스 회의에서 프랑스 외교를 지휘했고, 파리 평화 회의에서 일본의 인종 평등 제안을 지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 총회 의장을 역임하고, 192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는 파리 자연사 박물관 지원에도 기여했으며, 192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외무장관 - 폴 레노
폴 레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대의원으로 활동하며 독일 배상금 문제에 관여했고, 세계 대공황 시기에는 영국과의 동맹을 지지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독일의 침공으로 사임하고 수감되었다가 해방된 후 유럽 연합 구성을 지지했다. - 프랑스의 외무장관 - 에두아르 에리오
에두아르 에리오는 프랑스의 급진사회당 정치인으로, 리옹 시장과 세 차례의 총리를 역임하며 초기에는 독일과의 협력, 소비에트 연방과의 외교 관계 강화를 추구했고, 인민전선에 참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정권의 협력 제안을 거부하고 제4공화국에서 국민의회 의장을 맡기도 했다. - 1851년 출생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1851년 출생 - 프란츠 폰 리스트
프란츠 폰 리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형법학자이자 국제법 학자로, 목적형주의를 주창하며 형벌의 목적을 범죄 예방 및 재활, 사회적 보호로 설정하여 20세기 형벌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개선 불가능한 범죄자에 대한 극단적인 처벌 주장은 비판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 르네 카생
르네 카생은 프랑스의 법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세계 대전 참전과 국제 연맹 활동, 자유 프랑스 합류, 세계인권선언 초안 작성 기여, 유럽인권재판소 재판장 역임, 유대인 인권 보호 등의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레옹 부르주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레옹 빅토르 오귀스트 부르주아 |
출생일 | 1851년 5월 21일 |
출생지 | 파리 |
사망일 | 1925년 9월 29일 |
사망지 | 오제 |
안장 장소 | 샬롱앙샹파뉴 서쪽 묘지 |
정당 | 급진당 |
배우자 | 비르지니 마르그리트 셀리에 |
학력 | 파리 대학교 |
노벨상 | 노벨 평화상 (1920년) |
프랑스 정치 경력 | |
국무회의 의장 | 임기 시작: 1895년 11월 1일 임기 종료: 1896년 4월 29일 대통령: 펠릭스 포르 전임: 알렉상드르 리보 후임: 쥘 멜린 |
외무장관 | 임기 시작: 1896년 3월 28일 임기 종료: 1896년 4월 29일 대통령: 펠릭스 포르 총리: 본인 전임: 마르셀랭 베르틀로 후임: 가브리엘 아노토 |
내무장관 | 임기 시작: 1895년 11월 1일 임기 종료: 1896년 3월 28일 대통령: 펠릭스 포르 총리: 본인 전임: 조르주 레그 후임: 페르디낭 사리앵 |
국무장관 | 임기 시작: 1915년 10월 29일 임기 종료: 1916년 12월 12일 대통령: 레몽 푸앵카레 총리: 아리스티드 브리앙 |
하원의장 | 임기 시작: 1902년 6월 6일 임기 종료: 1904년 1월 12일 전임: 폴 데샤넬 후임: 앙리 브리송 |
상원의장 | 임기 시작: 1920년 1월 14일 임기 종료: 1923년 2월 22일 전임: 앙토냉 뒤보스트 후임: 가스통 두메르그 |
기타 | |
로마자 표기 | Léon Victor Auguste Bourgeois |
2. 생애 및 경력
레옹 부르주아는 1888년 샤를 플로케(Charles Floquet)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을, 1889년 랭스(Reims) 선거구 의원으로 재선된 후 피에르 티라르(Pierre Tirard) 내각에서는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1890년 3월 18일 샤를 루이 드 솔스 드 프레시네(Charles Louis de Saulces de Freycinet) 내각에서 공공교육부 장관이 되어 1890년 중등 교육에 대한 중요한 개혁을 담당했다.[9]
1892년 에밀 루베(Émile Loubet) 내각에서 공공교육부 장관직을 유지했고, 알렉상드르 리보(Alexandre Ribot) 정부 하에서 사법부 장관이 되었다.[9] 파나마 스캔들(Panama scandals) 기소를 적극 추진하여 비난을 받았으나, 1893년 3월 사임 후 다시 직책을 맡았다.[9]
1895년 11월 급진적인 내각을 구성했지만, 상원의 예산안 표결 거부로 인한 헌법 위기로 붕괴되었다.[9] 이 사건은 그의 정치 경력에 타격을 주었다. 1898년 브리송 내각에서 공공교육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성인을 위한 초등 교육 과정을 조직했다.[9]
1906년 5월 사리앵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이 되어 알헤시라스 회의(Algeciras)에서 프랑스 외교를 지휘했다.[9] 1912년과 1917년에는 노동·사회보장장관을, 1914년에는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헤이그 평화 회의와 파리 평화 회의에 프랑스 대표로 참석했고, 일본의 인종 평등 제안을 지지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League of Nations) 총회 의장을 역임하고, 1920년 노벨 평화상(Nobel Peace Prize)을 수상했다.[7]
사회 공화주의자인 부르주아는 "연대주의(solidarism)"를 추구하며 사회적 채무와 소득세를 통한 빈곤층 지원을 주장했지만, 상원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1925년 사망했다.[9]
2. 1. 초기 생애
레옹 부르주아는 파리에서 시계 제작자인 부르고뉴 출신의 평범한 공화주의 가정에서 태어났다.[2] 그는 법학을 전공하여 1874년 대학을 졸업했다. 1876년 공공 사업부의 하급 공무원을 지낸 후, 1882년 타른 주, 1885년 오트가론 주의 주지사를 역임하고 파리로 돌아와 내무부에 들어갔다.1887년 11월 쥘 그레비(Jules Grévy)가 대통령직에서 사임하는 중대한 시점에 경찰청장[3]이 되었다. 이듬해 마른 선거구의 의원으로 선출되어 조르주 불랑제(George Boulanger)에 반대하여 급진좌파에 합류했다. 1888년 샤를 플로케(Charles Floquet)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을 지냈고 1889년 사임한 후 랭스(Reims) 선거구 의원으로 재선되었다. 뒤이은 피에르 티라르(Pierre Tirard) 내각에서는 내무부 장관을, 1890년 3월 18일 샤를 루이 드 솔스 드 프레시네(Charles Louis de Saulces de Freycinet) 내각에서는 공공교육부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교육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1890년 중등 교육에 대한 중요한 개혁을 담당했다.
2. 2. 정치 입문
레옹 부르주아는 파리에서 시계 제작자 가문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했다.[2] 1876년 공공 사업부 하급 공무원을 거쳐 1882년 타른 주지사, 1885년 오트가론 주지사를 역임하고 파리로 돌아와 내무부에 들어갔다.[9]1887년 11월, 쥘 그레비(Jules Grévy) 대통령 사임이라는 중대한 시점에 경찰청장[3]이 되었다. 이듬해 마른 선거구 의원으로 선출되어 조르주 불랑제(George Boulanger)에 반대하는 급진좌파에 합류했다. 1888년 샤를 플로케(Charles Floquet)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을 지냈고, 1889년 랭스(Reims) 선거구 의원으로 재선되었다.[9]
이후 피에르 티라르(Pierre Tirard) 내각에서 내무부 장관을, 1890년 3월 샤를 루이 드 솔스 드 프레시네(Charles Louis de Saulces de Freycinet) 내각에서 공공교육부 장관을 역임하며 중등 교육 개혁을 담당했다.[9]
2. 3. 장관 및 총리 역임
레옹 부르주아는 1888년 샤를 플로케(Charles Floquet)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을 지냈고, 1889년 사임한 후 랭스(Reims) 선거구 의원으로 재선되었다.[9] 뒤이은 피에르 티라르(Pierre Tirard) 내각에서는 내무부 장관이 되었고, 1890년 3월 18일 샤를 루이 드 솔스 드 프레시네(Charles Louis de Saulces de Freycinet) 내각에서 공공교육부 장관이 되었다.[9] 그는 교육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1890년 중등 교육에 대한 중요한 개혁을 담당했다.[9]1892년 에밀 루베(Émile Loubet) 내각에서도 공공교육부 장관 직책을 유지했고, 그 해 말 알렉상드르 리보(Alexandre Ribot) 정부 하에서 사법부 장관이 되었다.[9] 당시 파나마 스캔들(Panama scandals)로 인해 그 직책은 특히 어려움이 많았다. 그는 파나마 스캔들 기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피고인 중 한 명의 아내에게 증거를 얻기 위해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비난을 받았다.[9] 이 비난에 대해 그는 1893년 3월 사임했지만 다시 직책을 맡았고 프레시네 내각의 다른 장관들과 함께 퇴임했다.[9]
1895년 11월 그는 독자적인 급진적인 내각을 구성했지만 상원이 예산안 표결을 지속적으로 거부하면서 발생한 헌법 위기로 인해 붕괴되었다.[9] 그는 저명한 프리메이슨이었고,[4][5] 그의 내각 구성원 8명도 프리메이슨이었다.[6]
부르주아 내각은 여론이 상원의 헌법 위반 행위로 간주되는 것을 무효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 같다. 그러나 대중은 무관심했고 상원이 승리했다. 이 사건은 부르주아의 정치 지도자('homme de gouvernement')로서의 경력에 타격을 입혔다.[9] 1898년 브리송 내각에서 공공교육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성인을 위한 초등 교육 과정을 조직했다.[9]
1906년 5월 사리앵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9] 그는 알헤시라스 회의(Algeciras)에서 프랑스 외교를 지휘했다.
1912년과 1917년에는 노동·사회보장장관을, 1914년에는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부르주아 내각의 구성원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임기 |
---|---|---|
총리, 내무부 장관 | 레옹 부르주아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외무부 장관 | 마르셀랭 베르테로(Marcellin Berthelot)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3월 28일 |
외무부 장관 | 레옹 부르주아 | 1896년 3월 28일 ~ 1896년 4월 29일 |
내무부 장관 | 페르디낭 사리앵(Ferdinand Sarrien) | 1896년 3월 28일 ~ 1896년 4월 29일 |
전쟁부 장관 | 고드프루아 카바냐크(Godefroy Cavaignac)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재무부 장관 | 폴 두메르(Paul Doumer)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사법부 장관 | 루이 리카르(Louis Ricard)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해군부 장관 | 에두아르 로크로아(Édouard Locroy)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공공교육, 미술, 종교부 장관 | 에밀 콩브(Émile Combes)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농업부 장관 | 알베르 비제(Albert Viger)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식민지부 장관 | 피에르-폴 기에스(Pierre-Paul Guieysse)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공공사업부 장관 | 에드몽 귀오-데생(Edmond Guyot-Dessaigne)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상공, 우정, 전신부 장관 | 귀스타브 메쥐르(Gustave Mesureur) | 1895년 11월 1일 ~ 1896년 4월 29일 |
2. 4. 외교 활동 및 국제 평화 노력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프랑스 대표로 활동하며 국제 평화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2] 1903년 상설 중재 재판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9]왈데크-루소와 콤브 내각 기간에는 정치 투쟁에서 거리를 두고 해외 활동에 주력했다.[9] 1906년 5월 사리앵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을 맡아[9] 알헤시라스 회의(Algeciras)에서 프랑스 외교를 이끌었다.[7]
1899년과 1907년 헤이그 회의에 모두 대표로 참석했으며,[7] 파리 평화 회의에도 대표로 참가하여 일본의 인종 평등 제안을 지지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League of Nations) 총회 의장을 역임하고,[7] 1920년 노벨 평화상(Nobel Peace Prize)을 수상했다.[7]
2. 5. 말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는 국제 연맹(League of Nations) 초대 총회 의장을 역임했고, 1920년 이 공로로 노벨 평화상(Nobel Peace Prize)을 수상했다.[7] 같은 해 1월에는 상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9]사회 공화주의자인 부르주아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사이의 중간 지점을 추구하며, 이를 "연대주의(solidarism)"라고 불렀다. 그는 부유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채무를 지고 있으며, 소득세를 통해 이를 갚아야 하고, 국가는 이를 통해 빈곤층을 위한 사회적 조치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상원은 그의 제안에 반대했고, 이러한 반대는 그가 총리직에서 사퇴할 때까지 이어졌다.
1925년에 사망했다.[9]
3. 파리 자연사 박물관 지원
부르주아는 파리 자연사박물관의 친구들 협회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1907년부터 1922년까지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8]
4. 역대 선거 결과
참조
[1]
간행물
The Official Philosophy of the French Third Republic: Leon Bourgeois and Solidarism
[2]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20
https://www.nobelpri[...]
2022-11-16
[3]
논문
In Memoriam: Léon Bourgeois–1851–1925
https://www.cambridg[...]
1925
[4]
서적
For Durkheim: Essays in Historical and Cultural Sociology
https://books.google[...]
Ashgate
[5]
서적
La Franc-maçonnerie à Reims (1740–2000)
[6]
서적
The Third Republic from Its Origins to the Great War, 1871-191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7]
서적
Power And Prejudice: The Politics And Diplomacy of Racial Discrimination
Westview Press
[8]
간행물
Cent ans d'histoire
[9]
백과사전
Bourgeois, Léon Victor Auguste
[10]
서적
Power and Prejudice, The Politics and Diplomacy of Racial Discrimin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